류석춘 교수가 강의 중에 했다는 위안부 관련 발언이 연일 논란입니다. <br /> <br />저명 인사 또는 사회적 책임이 막중한 위치에 있는 인물들 중에서 위안부와 관련한 역사 왜곡 발언과 막말로 논란을 일으킨 사례는 여러차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누가 어떤 발언을 했는지, 특히 발언 이후 어떤 책임을 졌는지 오늘 더콕에서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2014년 문창극 당시 총리 후보자는 지명 직후 과거 서울대에서 초빙 교수로 강의하면서 한 발언이 알려져 논란에 휩싸였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으로부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과받을 필요가 없다는 내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 후보자는 "진실한 사과가 전제되지 않고 금전적 배상에 치우친 것 같은 당시의 협상에 대해 지적한 것"이라고 해명하며 "본의와 다르게 상처받으신 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"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외에도 2011년 한 교회에서 강연하던 도중 "일본의 식민지 지배는 하나님의 뜻"이라고 말한 사실까지 밝혀졌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문 후보자는 지명 2주만에, 인사청문회가 열리기 전에 자진 사퇴했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, 국립대 교수의 강의 중 발언도 공분을 일으켰습니다. <br /> <br />송대엽 당시 순천대 교수는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해 언급하며 "무슨 일을 하는 지 알면서 따라간 것이다." "끼가 있어 따라다닌 것"이라는 등의 막말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사자와 대학측의 사과가 나왔지만 비난 여론은 누그러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순천대는 송교수를 파면했고 시민단체의 고발을 통해 송교수는 징역 6개월의 실형을 선고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친일 비판을 감정적 종족주의로 규정하는 책 '반일 종족주의'가 출간된 뒤 류석춘 교수처럼 이 책을 근거로 논란을 일으킨 경우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월, 부산대 사회과학대 학장이기도 한 이철순 교수는 '반일 종족주의' 북콘서트에 참석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이 과장됐다는 취지로 발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 할머니들의 증언이 질문자 유도에 따라 과장, 왜곡되었을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들을 돕고 있는 단체를 탈레반에 비유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대는 징계에 소극적인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6일, 정상혁 충북 보은군수의 발언에 대해서도 비판이 거셌습니다. <br /> <br />'주민소통을 위한 2019 이장단 워크숍'에서 정 군수는 "한국은 위안부 배상을 받고도 계속 사과를 요구한다"며 아베 정부 입장을 두둔하는 발언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논란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2513414912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